무인 항공기의 이해[드론을 중심으로~]

01 무인항공기 용어정의 ICAO, FAA, 국립국어원, [항공안전법]

01 무인항공기 용어정의 ICAO, FAA, 국립국어원, [항공안전법]

무인 항공기 UAVUninhabited Aerial Vehicle조종사가 항공기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자동 또는 원격으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서 자동 또는 반 자동 형식으로 자율 비행하거나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지상 통제 장비, 통신 장비 및 지원 장비 등 전체 시스템.최초의 무인 항공기 용어인 군용 RC에서 비롯된 용어 드론”벌이 윙윙거리 울며 날”이란 뜻으로 물 벌(벌)(표준어)에 유래하는 용어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대로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말한다.RPVRemote Piloted Vehicle지상에서 무선 통신으로 원격 조종된다는 뜻의 비행체 UASUMManned Aircraft Systems무인 항공기가 일정하게 한정된 공역에서 비행 뿐만 아니라 민간 공역에 진입하게 하며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항공 기입을 강조하는 용어 RPASRemotely Piloted Aviation System2011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가 공식 용어로 채택하고 있다.RPA/RPAV(Remote Piloted Aircraft/Aerial Vehicle무인 비행체)RPS(Remote Piloting Station무인 비행 통제 시스템)

02 항공기의 정의와 초경량 비행 장치[항공 안전법]제2조

1. 항공기와 초경량 비행 장치의 개념

항공기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경량항공기 항공기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헬리콥터 자이로플레인 Gyroplane 동력 낙하산 Powerd Parachute 초경량비행장치 항공기와 경량항공기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기구류 무인비행장치 등

항공기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경량항공기 항공기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기기헬리콥터 자이로플레인 Gyroplane 동력 낙하산 Powerd Parachute 초경량비행장치 항공기와 경량항공기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기구류 무인비행장치 등

고정날개 + 회전날개 복합기체로 국내 최초 VTOL (출처 : 드로넷)

고정날개 + 회전날개 복합기체로 국내 최초 VTOL (출처 : 드로넷)

촬영용 드론(출처:DJI)

2. 항공기의 항공 역학적 분류

구분동력상세 부력비행장치(공기보다 가벼운 기체/항공기) 비동력(무엔진)식 Non-Power Driven 자유기구류 Free Balloon 계류기구류 Captive Balloon 동력(엔진)식 Power-Driven 비행선 Airship 양력비행장치(공기보다 무거운 기체/항공기) 비동력(무엔진)식 Non-Power Driven 연 Kite 활공기 Glider 동력(엔진)식 Power-Driven 고정날개 항공기 Airplane 회전익항공기 Rotercraft구분 동력 상세 부력 비행 장치(공기보다 가벼운 기체/항공기)비 동력(자기도 엔진)식 Non-Power Driven자유 기구류 Free Balloon계류 기구류 Captive Balloon동력(엔진)식 Power-Driven비행선 Airship양력 비행 장치(공기보다 무거운 기체/항공기)비 동력(자기도 엔진)식 Non-Power Driven연구소 Kite활공기 Glider동력(엔진)식 Power-Driven고정익 항공기 Airplane회전 날개 항공기 Rotercraftoptercraft구분동력상세 부력비행장치(공기보다 가벼운 기체/항공기) 비동력(무엔진)식 Non-Power Driven 자유기구류 Free Balloon 계류기구류 Captive Balloon 동력(엔진)식 Power-Driven 비행선 Airship 양력비행장치(공기보다 무거운 기체/항공기) 비동력(무엔진)식 Non-Power Driven 연 Kite 활공기 Glider 동력(엔진)식 Power-Driven 고정날개 항공기 Airplane 회전익항공기 Rotercraft월등히 항공기 모형 (출처 : 스카이테크 인터내셔널)월등히 항공기 모형 (출처 : 스카이테크 인터내셔널)3. [항공안전법]에 따른 분류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제2조구분 600kg이상 600kg 180kg 150kg 115kg 유인항공기 항공기·비행기·회전날개 항공기 경량헬리콥터·동력파라슈트·체중이동형 비행기·타면조종형비행기·동력비행장치·동력패러글라이딩·행글라이딩·기구류·낙하산류 무인항공기 무인항공기 ·비행기 ·회전날개 항공기 초경량 비행장치(무인비행장치) 무인항공기(비행선) 180kg이상 150kg구분 600kg이상 600kg 180kg 150kg 115kg 유인항공기 항공기·비행기·회전날개 항공기 경량헬리콥터·동력파라슈트·체중이동형 비행기·타면조종형비행기·동력비행장치·동력패러글라이딩·행글라이딩·기구류·낙하산류 무인항공기 무인항공기 ·비행기 ·회전날개 항공기 초경량 비행장치(무인비행장치) 무인항공기(비행선) 180kg이상 150kg600kg 이상 무인비행기에 해당하는 글로벌 호크(출처:대한민국 공군)무인비행선(출처: 환경부)# 항공기 등의 종류 1. 항공기(고정날개)비행기 엔진의 추진력으로 날개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인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고정날개 항공기 비행선 엔진의 추진력과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 등에 의해 공중으로 부양하여 비행하는 항공기, 차세대 우주선이 연구되고 있다.활공기 엔진 없이 항공기 또는 자동차로 견인되어 공중으로 부양하고 기류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항공기 회전익 항공기 로터리 블레이드(회전익)에 의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부양되는 항공기 항공우주선 지구대기권 내외를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고정날개)비행기 엔진의 추진력으로 날개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인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고정날개 항공기 비행선 엔진의 추진력과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 등에 의해 공중으로 부양하여 비행하는 항공기, 차세대 우주선이 연구되고 있다.활공기 엔진 없이 항공기 또는 자동차로 견인되어 공중으로 부양하고 기류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항공기 회전익 항공기 로터리 블레이드(회전익)에 의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부양되는 항공기 항공우주선 지구대기권 내외를 비행할 수 있는 비행체신형 우주왕복선(출처:SPACE X)2. 경량 항공기타면 조종형 비행기 엔진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고 날개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으로 양력을 얻는 고정익 경량항공기 체중이동형 비행기 프로펠러 엔진으로부터 추진력을 얻어 고정익의 공기반작용에 의해 양력을 얻는 경량항공기 경량헬리콥터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의한 공기반사로 부양되는 경량항공기 자이로플레인 기체의 주행시 공기역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에서 부양되는 경량항공기동력 낙하산 낙하산류에 추진력을 얻는 장치 및 경량항공기 경량헬리콥터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추진력을 부착한 착륙장치타면 조종형 비행기 엔진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하고 날개에 대한 공기의 반작용으로 양력을 얻는 고정익 경량항공기 체중이동형 비행기 프로펠러 엔진으로부터 추진력을 얻어 고정익의 공기반작용에 의해 양력을 얻는 경량항공기 경량헬리콥터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의한 공기반사로 부양되는 경량항공기 자이로플레인 기체의 주행시 공기역작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에서 부양되는 경량항공기동력 낙하산 낙하산류에 추진력을 얻는 장치 및 경량항공기 경량헬리콥터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추진력을 부착한 착륙장치자이로플레인 Hawk 4 (출처: Groen Brothers사, 현재 Skyworks사)동력 파라슈트 (출처 : 스포츠 항공 협회)3. 초경량 비행 장치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에 엔진을 부착하고 체중을 이동하여 방향을 조종하는 비행장치 회전날개비행장치 로터리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의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부양되는 비행장치 동력 패러글라이더 낙하산류에 추진력을 얻는 장치를 부착한 비행장치 기구류 기체의 성질이나 온도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하늘로 올라가는 비행장치 무인비행장치인이 타지 않고 원격조종 또는 스스로 조종되는 비행장치 인력활공기 낙하산류 또는 합금소재 골조에 천을 씌워 사람이 아래로 활공할 수 있는 메달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에 엔진을 부착하고 체중을 이동하여 방향을 조종하는 비행장치 회전날개비행장치 로터리 블레이드(회전날개)에 의한 공기의 반작용에 의해 부양되는 비행장치 동력 패러글라이더 낙하산류에 추진력을 얻는 장치를 부착한 비행장치 기구류 기체의 성질이나 온도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력을 이용하여 하늘로 올라가는 비행장치 무인비행장치인이 타지 않고 원격조종 또는 스스로 조종되는 비행장치 인력활공기 낙하산류 또는 합금소재 골조에 천을 씌워 사람이 아래로 활공할 수 있는 메달행글라이더 (출처 : 텀블비닷컴)앤둘릴사의 고스트 4 기체로 회전날개 축소판 드론으로 AI가 탑재돼 임무를 수행한다. (출처 : 앤드루사)04 무인항공기(드론) 날개에 의한 분류[항공안전법]04 무인항공기(드론) 날개에 의한 분류[항공안전법]고정하고 조심스러움이 기체에 수평으로 붙어 있는 형태(비행기형)장점 모터 구동 엔진보다 왕복 엔진과 분사 추진 엔진 등을 장착할 수 있으며 비행 속도가 빠른 날씨 변화의 영향을 덜 받는 화물 중량에 제한이 적다.단점 이착륙에 활주로가 필요하고 빠른 속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정지 비행 기능이나 저고도 좁은 공간에서 임무 또는 느린 속도에서 임무 비행에 제한되는 회전 날개 회전축에 설치되었고 그 축 주위에 회전 운동을 통해서 양력을 발생시키는 형태(헬기형)모터와 회전 날개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기체의 크기에 의한 정밀한 비행 가능하다.활주로가 불필요하고, 소형 물품 배달업, 동영상 촬영업 등 중저속 단거리 비행에 주로 사용 배터리(축제 전 연못)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항속 시간과 거리에 제한을 받는다.프로펠러(X로터, Rotor)숫자로 듀얼 코프타(2)트리플 코프타(3)쿼드 코프타(4)헥사 코프타(6)오쿠토 코프타(8)데카 코프타(10)도 데카 코프타(12)등에 구분 더 높은 수치는 단지 멀티 콥터라고 부르는 것이 좋다(주인 백)혼합형 냉동 로터(VTOL)으로 부르며 수직 상태에서는 헬리콥터처럼 수직 이착륙을 수평 상태에서는 고정 날개처럼 고속으로 비행이 가능한 기체 고정 날개 순항 능력과 조종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복잡한 비행 능력이 모두 수직 착륙 능력이 뛰어나고 복잡한. 최근 활발하게 다양한 형태의 기체가 연구되고 있다.*참고용 라틴어 서수 접두사10deca1single11hendeca2dual12dodeca3tri / triple13trideca4quad14tetradeca5penta15pentadaca6hexa16hexadeca7hepta17heptadeca8octa18octadeca9nona19enneadeca20icosa** 짝수 위주로 구성되는게 보통이지만 홀수도 있을 수 있으니까..20icosa** 짝수 위주로 구성되는게 보통이지만 홀수도 있을 수 있으니까..20icosa** 짝수 위주로 구성되는게 보통이지만 홀수도 있을 수 있으니까..

error: Content is protected !!